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pple
- DIY
- Python
- 애플
- 안드로이드
- Davinci
- 리졸브
- tag
- naver
- 갤럭시
- Davinci Resolve
- 욕실
- HTML
- 영상편집
- 파이썬
- C언어
- 삼성
- 다빈치 리졸브
- 분해
- 태그
- samsung
- 자가설치
- RESOLVE
- 세면대
- java
- Galaxy
- 종류
- 인공지능
- CSS
- 다빈치
- Today
- Total
목록i!kohong 의 모든 정보 (373)
IT 세상 해석하기
[네이버페이] 네이버포인트 취소/인출 방법 By i!kohong(아이코홍) 네이버페이의 포인트를 현금화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네이버에 로그인을 한 다음, '네이버 페이'로 들어갑니다. 네이버페이 네이버 ID로 간편구매, 네이버페이 pay.naver.com 여기서 포인트를 눌러주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포인트를 보게되면, '적립 포인트'와 '충전 포인트'로 나뉘게 됩니다. '적립 포인트'는 네이버 쇼핑을 통해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충전 포인트'는 사용과 환불이 가능한 포인트입니다. 여기서 위쪽의 '충전'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충전 포인트'의 상세목록을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오른쪽의 '취소하기'버튼을 눌러주면, 가지고 있는 포인트를 인출 할 수 있습니..
[JAVA] 형 변환 : 데이터를 다른 종류의 상자로 By i!kohong(아이코홍) 형 변환이란? 어떤 데이터를 다른 타입의 데이터로 취급하는 방식 [형 변화의 예시] ▶ 하나의 데이터를 크기가 적거나 큰 상자로 복사할 때 byte b = 10; int i = b; ▶ 특정 타입의 데이터를 다른 타입의 데이터로 사용할 때 char c = 'A'; int i = c; ▶ 연산의 결과를 다른 타입의 데이터로 사용할 때 ■ 형 변환의 종류 1. 자동(묵시적)형 변환(Automatic Type Conversion) 개발자가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알아서 처리가 된다. 2. 명시적 형 변환(Explicit Type Conversions): Casting[캐스팅] 큰 용량의 상자에서 작은 용량의 상자로 옮기는..
[Java] 할당연산자(=) By i!kohong(아이코홍) '='은 수학적 의미로는 '같다'이지만 JAVA에서는 다른 엄청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JAVA'에서 'a=b'는 b 상자의 내용물을 a 상자로 복사한다는 뜻이다. '='은 할당 연산자 (Assign Operator)로, 수학과는 달리 어떤 연산 작업을 한다는 표시임. '='의 왼쪽은 데이터를 넣으려고 하는 대상 ='의 오른쪽은 꺼낼 데이터를 의미 예시 int x = 10; x = x + 20;
[JAVA] 변수 타입(Type) By i!kohong(아이코홍) Java 변수의 종류 □ 기본 자료형(Primitive Type) > 가장 많이 쓰는 데이터를 쉽게 사용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 놓은 타입. 단순한 데이터를 담는 상자 □ 객체 자료형(Reference Type) > 복합적인 데이터를 의미, 덩치가 큰 데이터를 담을 때 사용. C 언어에서는 포인터 변수와 같음 □ 8bit안에는 0,1 즉 2진수로만 작성이 된다. 예시 byte x = 15; 인 경우 2의 7승 2의 6승 2의 5승 2의 4승 2의 3승 2의 2승 2의 1승 2의 0승 10진수 128 64 32 16 8 4 2 1 2진수 0 0 0 0 1 1 1 1 -> 2⁰(1) + 2¹(2) + 2²(4) + 2³(8) = 15 단 ..
[JAVA] 변수 선언 By i!kohong(아이코홍) 변수란? 어떤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시 대명사 현재 코드 내에서 어떤 데이터를 의미하는데 사용됨 변수를 선언하는 기준 - 매번 다른 데이터를 사용할 때 - 연산한 결과를 보관할 때 - 한 번 선언한 데이터를 여러 곳에서 사용할 때 변수 선언 [자료형(Type)] [변수] EX) int x int(자료형[정수형] x[변수] 변수를 해석하는 방법 [자료형(Type)] [변수] = [값] EX) int x = 10; int(자료형[정수형]) x(변수) =(할당 연산자) 10(값); > x라는 이름의 변수에 숫자 10이라는 값을 넣는다. 비유를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변수 : 상자 값 : 상자 안에 담기는 수 할당 연산자 : 어떤 연산자 작업을 한다는 ..
[C언어] 기본 데이터형(primitive Date type) - 정수형 By i!kohong(아이코홍) 정수형 종류 signed 형 (부호 있는 정수형) unsigned 형 (부호 없는 정수형) ■ 정수형 크기 (32bit 플렛폼 기준) short형 : 2byte int 형 : 4byte long 형 : 4byte 부호 있는 정수형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를 부호 비트(sign bit)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정수 값을 저장할 때 주로 사용. 부호 비트가 1 : 음수 부호 비트가 0 : 양수 ▶ 음수 표현 방법 2의 보수(2's compliment)를 사용 정수형 -N의 값을 2진수로 표현 1. N의 값을 2진수로 표현을 한다. 2. 모든 비트를 반전한다. (0 → 1, 1 ..
[C언어] 기본 데이터형(primitive Date type) - 문자형 By i!kohong(아이코홍) ■ 데이터형이란? C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모든 변수나 상수 값은 정해진 데이터 값을 갖는다. 컴퓨터 시스템의 모든 데이터는 0과 1이라는 이진 데이터(binary date)로 표현되며, 데이터형에 의해서 주어진 값의 이진 표현(binary representation)이 결정된다. ▶ 기본 데이터형(primitive date type) - 문자형 char형으로 1바이크 크기의 데이터형이다. 문자 코드를 저장하는데, 대표적은 문자 코드는 아스키(ASCII)코드나 한글 완성형 코드 등이 있다. 10진수 문자 10진수 문자 10진수 문자 10진수 문자 0 NUL 32 SP 64 @ 96 ' 1 SOH 33..
[C언어] 상수(Constant) By i!kohong(아이코홍) 상수 프로그램에서 값이 변경되지 않는 요소이다. 상수는 값이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고 한 번만 사용된 다음 없어지는 임시 값(temporary value)이다. 상수의 종류 리터럴 상수(Literal) 매크로 상수 리터럴 상수(Literal) 값 자체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다. 상수형 구분 예시문 문자형상수 일반 문자 'a','b','c' 특수 문자 '\t','\n','\\','\xa' 유니코드 문자 L'a',L'b',L'c' 정수형 상수 10진수 정수 10, -10 16진수 정수 0xabcd, 0X12EE 맨앞의 0x는 16진수를 의미함 8진수 정수 012,0234 맨앞의 0은 8진수를 의미함 unsigned 정수 123u,123U U는 완..
[C언어] 변수(Variable), const 변수 By i!kohong(아이코홍) 변수란? (Variable ?) 프로그램에서 변경될 수 있는 데이터는 메모리(memory)에 보관이 된다. 값을 변경할수 있는 데이터. 데이터를 보관해둘 필요가 있을 때 변수를 사용 메모리란? 연속된 데이터 바이트의 모임, 메모리의 각 바이트는 주소(address)를 갖는다. 메모리에는 저장할 데이터 값의 형식(Type)에 따라 메모리가 얼마만클 필요한지가 결정됨.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특정 크기의 메모리를 준비하는 것을 "변수를 메모리에 할당한다."라고 명칭함. 변수 선언 방법 데이터형 변수명; 데이터형 변수명1, 변수명2, ... ; → 저장될 값의 데이터형에 따라 필요한 만큼 메모리를 할당받고, 이름을 붙여서 사용..
[C언어] 데이터형 종류, 식별자, 키워드(Keyword) By i!kohong(아이코홍) C 언어 데이터형 종류 ※ 기본 데이터형 : 문자형(char), 정수형(short,int,long), 실수형(float,double) → C언어 자체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데이터형 ※ 파생 데이터 : 배열, 포인터 → 기본 데이터형을 이용해서 추가로 정의되는 데이터형 ※ 사용자 정의형 : 구조체, 공용체, 열거체 → 프로그래머가 직접 정의하는 데이터형 참고 char (1byte) short (2byte) int (4byte) long (8byte) float (4byte) double (8byte) 배열 (char이 여러개 모인 데이터형) 포인터 (1byte 주소) 식별자(identifier) → 각각의 변수를 구..